자동차 관세 시행으로 신차 가격 상승 압박

  • 위 이미지는 예상을 바탕으로 만든 이미지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美 자동차 관세 부과, 신차·수리비 전방위 상승 예고

미국 정부가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이유로 25%의 자동차 관세를 발효하면서 신차 가격은 물론 자동차 부품·수리 비용까지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미 국내 제조업 투자와 고용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 주장했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수입 부품 사용 비율 높은 차량, 가격 인상 불가피

새로 도입된 관세는 미국 외 국가에서 완성된 자동차뿐만 아니라, 5월 3일부터는 이들 차량에 사용되는 수입 부품에도 적용된다.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조립되는 차량이라 할지라도 수입 부품 의존도가 높은 경우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가령, 미국 앨라배마에서 생산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일부 모델은 총 차량 가치의 약 90%가 유럽산 엔진과 변속기에서 비롯돼 있어, 관세 영향이 상당할 전망이다. 테네시, 오하이오, 미시간 등 주요 자동차 생산 주 역시 다수의 차량에서 수입 부품을 사용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

북미 자유무역협정 적용 차량, 일정 부분 면세 가능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는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면 일부 관세 면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차량도 엔진, 배터리, 변속기 등의 핵심 부품이 미국산이 아닐 경우 일정 수준의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미국 내 공장에서 대부분 부품을 조달하는 차량은 관세 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예컨대,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생산되는 테슬라 모델 Y, 앨라배마산 혼다 패스포트 등은 미국산 부품 비중이 높아 비용 상승 폭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수리·보수 비용까지 영향…중고차 가격도 들썩

자동차를 직접 구매하지 않는 소비자들도 관세의 여파에서 벗어나긴 어렵다.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오일 필터 등 다양한 교체용 부품에도 관세가 부과되면서 수리 및 정비 비용 역시 오를 예정이다.

자동차 수리업체 버지니아 타이어 앤 오토의 공동 대표 마이클 홈즈는 "부품 가격 상승분을 업계가 모두 감당하긴 어려워 향후 소비자에게 비용이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신차 구매 대신 중고차 시장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중고차 가격 또한 덩달아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

답글 남기기